Network7 프로토콜이란? 프로토콜이란 컴퓨터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서 이스라엘 사람과 시리아 사람이 서로 대화를 할 때 언어가 다르니 서로 영어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때 영어가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토콜의 3요소 언어에는 단어 문법 등등이 있듯이 프로토콜에도 구문, 의미, 타이밍이 있다. 이 3가지가 정해져야지 서로 교환이 가능하다. 구문 구문은 주+동+보 같은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의 구조나 포맷을 의미한다. 데이터의 이 부분은 이것을 의미하고 저 부분은 저것을 의미한다는 구문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서 앞 4비트는 목적지 주소, 중간 8비트는 전송 데이터라고 정의하는 것이다. 의미 데이터의 각 부분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있게 미리 정해둔 규칙이다. 이 규칙은 오류 제어, 동기 제어, 흐.. 2023. 8. 17. 패킷트레이서 사용해보기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는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이다. 네트워크 공부할때 도움이 많이 되고 장비들도 이해하기 쉽다.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그럼 일단 간단하게 PC 2대를 스위치로 연결을 해 보겠다. 첫번째로 나의 내 친구의 PC를 스위치로 연결했다. 각각 PC는 이렇게 설정했다. 여기서 이제 내가 내 친구에게 ping을 날릴것이다. 터미널에서 날려보니 아주 잘 날아갔다. 물론 더 간편하게 패킷을 보내는 방법도 있다. 이 편지버튼을 누르고, 수신 PC와 송신 PC를 순서대로 클릭하면, 이렇게 확인할 수 있다. 상태는 성공적이라고 나온다! 책에 있는 예제를 만들어보면, 이렇게 만들었다. 각 PC는 이렇게 설정했고, 라우터는 이렇게 설정했다. PC 4에서 PC 7로 패킷을 보내보면 이렇게 성공이 뜨는것을 볼 수 있다... 2023. 8. 15. 네트워크가 뭐야? 네트워크는 각 노드(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이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통신망중 하나이다. 각 검퓨터 장치들은 데이터 링크를 사용하여 서로에게 데이터를 교환한다. 각 데이터 링크들은 광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 혹은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매체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좋은 네트워크와 나쁜 네트워크를 나누는 기준은 성능, 신뢰성, 보안성이 있다. 성능 성능은 처리량과 지연시간으로 구분된다. 네트워크 성능을 측정할때에도 처리량과 지연시간으로 측정한다. 처리량 : 데이터 링크를 통해 전달된 시간당 데이터 양 지연시간 :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시간인 경우시간, 요청에 대한 응답에 소요된 시간인 응답시간, 출 발지에서 목적지를 거쳐 돌아오는데 걸리는 왕복시간이 있다. 신뢰성과 보안성.. 2023. 8. 1. 이전 1 2 다음